본문 바로가기
세금이야기/세금 기초 개념 쉽게 배우기

영수증 vs 세금계산서, 무엇이 다를까? – 헷갈림 완벽 정리

by 노지로그 2025. 8. 15.

일상생활이나 사업을 하다 보면 “영수증이랑 세금계산서가 뭐가 다른 거예요?”라는 질문을 가끔 듣습니다.
둘 다 ‘거래가 있었다’는 증거이긴 하지만, 발급 목적·세무 효력·사용처가 확실히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 영수증과 세금계산서의 차이를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영수증 vs 세금계산서, 무엇이 다를까? – 헷갈림 완벽 정리

 

1. 발급 목적의 차이

구분 영수증 세금계산서
목적 단순 거래 금액 수령 증명 부가가치세 신고 및 매입·매출 세액공제
발급 주체 누구나 가능 (사업자·개인) 사업자만 가능 (부가세 과세사업자)
발급 시점 결제 직후 거래일 기준 발급 기한 내
 
  • 영수증은 말 그대로 “돈을 받았다”는 증거 문서입니다. 세금신고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요.
  • 세금계산서는 부가세가 포함된 거래에서 세금을 신고하고, 매입·매출에 반영하기 위해 발급합니다.

 

2. 법적 효력의 차이

  • 영수증: ‘거래 증빙’은 되지만, 부가세 환급을 받을 수 있는 자료는 아닙니다.
  • 세금계산서: 부가세 신고 시 세액공제·환급에 필요한 법적 증빙입니다.

Tip: 개인이라도 연말정산 소득공제용이라면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청하세요.
사업자라면 반드시 세금계산서를 받아두는 것이 절세의 기본입니다.

 

 

3. 사용 예시

  • 영수증: 편의점, 카페, 마트 등 일상 소비
  • 세금계산서: 도매 거래, 대량 물품 구매, B2B 계약

 

 

4. 발급 방법

  • 영수증: 카드 결제 시 자동 출력, 현금 결제 시 요청 가능
  • 세금계산서: 홈택스 전자세금계산서, 또는 카드사·ERP 프로그램에서 발급

📌 전자세금계산서는 발급 기한을 넘기면 가산세가 붙습니다.
부가세 신고 때 환급을 받으려면 발급일과 기한을 꼭 확인하세요.

 

5. 어떤 걸 받아야 할까?

  • 사업자 → 세금계산서 필수
    → 부가세 환급·경비처리 가능
  • 개인 → 영수증 또는 현금영수증
    → 소득공제·지출증빙 가능

 

 

6. 결론

영수증과 세금계산서는 ‘비슷한 것 같아도’ 세무상 효력은 완전히 다릅니다.
사업자는 세금계산서를, 개인 소비자는 현금영수증을 챙기는 습관이 절세의 시작입니다.

 

💡 더 많은 절세 팁세금계산서 발급 가이드는 홈택스·카드사 사이트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세금 관련 프로그램이나 발급 서비스는 검색이나 삼당을 통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