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이야기/세금 기초 개념 쉽게 배우기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은 언제인가요? 쉽게 알아보기

by 노지로그 2025. 7. 1.

여러분이 물건을 사거나 음식을 사 먹을 때, 가격에 세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이 세금은 국가에 내는 돈이에요.

 

사업을 하시는 분들도 물건을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면 이렇게 모은 세금을 일정한 기간에 신고하고 냅니다. 이것을 부가가치세 신고라고 부릅니다. 이 글에서는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이 언제인지,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그리고 비슷하게 생긴 ‘예정신고’와 ‘예정고지’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아주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은 언제일까요?

부가가치세 신고는 1년에 두 번 꼭 해야 하는 큰 신고와, 중간에 하는 예정신고나 예정고지로 나누어집니다. 사업자라면 이 시기를 꼭 기억해야 합니다.

1기 확정신고

  • 언제 하나요?
    매년 7월 1일부터 7월 25일까지 신고합니다.
  • 무엇을 신고하나요?
    1월부터 6월까지의 매출과 매입을 적습니다.

2기 확정신고

  • 언제 하나요?
    다음 해 1월 1일부터 1월 25일까지 신고합니다.
  • 무엇을 신고하나요?
    7월부터 12월까지의 내용을 신고합니다.

이것이 1년에 두 번 하는 기본 신고입니다.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은 언제인가요? 쉽게 알아보기

 

 

예정신고와 예정고지는 무엇인가요?

여기서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예정신고와 예정고지입니다. 이름이 비슷해서 많은 분들이 혼동합니다. 쉽게 차이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예정신고란?
사업자가 직접 3개월 동안의 매출과 매입을 정리해서 신고서를 씁니다. 이렇게 중간에 신고하고 세금을 냅니다.
예정신고는 보통 매출이 줄거나 환급받을 일이 있을 때 유리합니다.

 

예정고지란?
국세청이 자동으로 계산해서 고지서를 보내줍니다. 마치 전기요금 고지서처럼, 얼마를 내라고 알려줍니다.
사업자가 따로 신고하지 않아도 되고, 고지서에 적힌 금액만 내면 됩니다.

 

 

 

예정신고와 예정고지는 언제 하나요?

예정신고나 예정고지는 1년에 두 번 있습니다.

1기 예정신고/예정고지

  • 언제? 4월 1일부터 4월 25일까지
  • 어떤 기간? 1월~3월 매출

2기 예정신고/예정고지

  • 언제? 10월 1일부터 10월 25일까지
  • 어떤 기간? 7월~9월 매출

이처럼 예정신고는 중간 점검을 하는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신고 전에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요?

부가가치세 신고를 준비할 때는 아래 자료가 필요합니다.

  • 매출과 매입 전자세금계산서
  • 카드 매출과 현금영수증 자료
  • 간이영수증 등 경비 증빙
  • 지난 신고 내역과 중복 여부

자료를 빠짐없이 모아두면 신고할 때 편리합니다.

 

 

 

간이과세자는 어떻게 신고하나요?

간이과세자는 조금 다릅니다. 이분들은 1년에 한 번만 신고합니다.
✅ 신고기간은 매년 1월 1일부터 1월 25일까지입니다.
✅ 신고하는 내용은 전년도 1월부터 12월까지 매출입니다.

이렇게 간단한 방식으로 신고가 끝나기 때문에 예정신고나 예정고지를 따로 하지 않아도 됩니다.

 

 

 

신고를 제때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부가가치세를 늦게 신고하거나 납부하지 않으면 벌금처럼 가산세가 붙습니다.

  • 무신고 가산세: 내야 할 세금의 20%
  • 납부지연 가산세: 하루에 0.022%씩 늘어납니다.

이렇게 불이익이 커질 수 있으니 기한을 꼭 지켜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부가가치세 신고기간과 예정신고, 예정고지는 사업을 하는 분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중요한 내용입니다. 처음에는 어려워 보여도 차근차근 준비하면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미루지 않고 미리 신고 준비를 하셔서 가산세 부담 없이 편안하게 사업을 운영해 보시기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생기면

 

홈택스에 문의하거나 전문가에게 상담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